쇼와시대 일본제국에 의한 조선강제 점령과 통치는 당시 8090년대의 전지구적인 규모의 유럽발 제국주의 (대표적으로 영국제국)의 유행에 따른 결과물이자 한국과 일본 양국 사회에 전쟁으로 인한 피해자와 수혜자, 그리고 그런 역사적 사실을 둘러싼 갈등요소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다분히 민족주의적인 관점으로 다룰 사안이 아닙니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4080508330004741
6월 24일 찾은 일본 사이타마현 세이부엔 유원지. 쇼와(昭和·히로히토 일왕의 연호) 시대(1926~89) 풍경이 눈앞에 펼쳐졌다. 1950, 60년대에 있었을 법한 파출소, 양복점, 과일가게, 생선가게 건물이 줄지어 서 있고, 당시 의상을 그대로 재현한 사람들이 애니메이션 아톰(1952~68년 연재) 그림을 그리거나 노래를 불렀다.
이곳은 이른바 쇼와 레트로(복고풍)를 재현한 일본의 테마파크다. 복고풍을 선호하는 젊은 세대 감성을 수용해 2021년 재개장했는데, 평일에도 약 500명이 찾는다고 한다.
아픈 과거를 기억하는 건 그때를 살았던 노인들뿐이었다. 오오키 사츠(86)는 쇼와 시대를 생각하면 '전쟁과 식민지'가 떠오른다고 답했다. 그는 "이때 한국 사람들이 일본에 와 고생을 많이 했다"며 "전쟁이 나면 시민들이 정말 힘들기 때문에 다신 일어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여기 젊은이들은 부모와 조부모에게만 전해듣던 쇼와 시대를 어떤 세상으로 기억하고 있을까? 일본이 경제적으로 잘나가던 고도성장 시대의 향수를 듬뿍 불러일으키는 키워드가 바로 쇼와다. 도쿄에서 온 치바(24)는 "최근 레트로 카페나 쇼와 의상을 빌려주는 렌털숍이 유행하고 있다"며 "복고풍을 즐기고 싶어 일부러 찾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해가 지지 않는 대영제국 시절인 빅토리아(여왕 재위기 1837~1901년) 시대를 따라한 듯 '빅토리아'가 적힌 카페 간판도 눈에 띄었다. 스즈키(25)는 "할머니 집에 있던 식기나 물품들이 생각나 재밌다"고 말했다. 일본 젊은이들은 상점 곳곳에 걸린 당시의 옷과 머리장식을 신기한 듯 살펴보고, 일본 순사가 도둑을 잡는 연기자들의 공연을 보며 까르르 웃었다.